카이베르 고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이베르 고개는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AH1) 상에 위치하며, 란디 코탈에서 페샤와르 계곡을 거쳐 자므루드까지 이어진다. 이 고개는 스핀 가르 산맥의 일부를 통과하며 아프가니스탄 국경에서 약 30km 떨어져 있다. 역사적으로 카이베르 고개는 키루스, 다리우스, 칭기즈 칸 등 많은 침략자들이 인도 아대륙을 침략하는 주요 통로로 사용되었다. 실크로드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무역로로도 번성했으며, 영국령 인도 시대에는 군사적 요충지로서 중요성을 지녔다. 1947년 인도 분할 이후 파키스탄의 일부가 되었으며, 현재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중 NATO군의 보급로로 활용되었다. 또한, 문화적으로도 다양한 지명과 시설의 이름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문학 작품과 대중문화에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카이베르 고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파슈토어 (음역) | De Xēber Dara |
파슈토어 (의미) | 카이베르 계곡 |
지리 | |
위치 | 란디코탈과 자므루드 사이 |
산맥 | 화이트 산맥 (Spīn Ghar, Safēd Kōh) |
좌표 | 34.07570° N, 71.20394° E |
해발고도 | 1070m |
교통 | |
통과 도로 | [[File:Pakistan_N-5.svg|1000x25px]]N-5 국도; 카이베르 고개 철도 |
2. 지리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AH1)을 따라 란디 코탈 마을에 있는 고개의 정상은 파키스탄 내부에 5km 위치해 있으며, 페샤와르 계곡으로 460m 하강하여 자므루드에 이른다. 자므루드는 스핀 가르 산맥의 일부를 지나 아프가니스탄 국경에서 약 30km 떨어져 있다.[2]
인도 아대륙은 히말라야 산맥, 술라이만 산맥, 타르 사막 등으로 둘러싸여 외부로부터의 접근이 어려운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카이베르 고개는 고대부터 외부 세력이 인도 아대륙으로 진입하는 주요 통로이자 교역로로 이용되었다.
카이베르 고개는 파키스탄의 북서쪽 끝에 위치하며, 파키스탄의 페샤와르와 가깝다. 인도 아대륙은 히말라야 산맥, 술라이만 산맥, 대인도 사막(타르 사막) 등에 둘러싸여 외부에서의 접근이 쉽지 않은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카이베르 고개는 역사적으로 외부 세력이 인도 아대륙으로 들어오는 몇 안 되는 주요 경로 중 하나였다. 카이베르 고개를 넘으면 아프가니스탄의 잘랄라바드에 이른다.
3. 역사
역사적으로 많은 외세의 침략이 카이베르 고개를 통해 이루어졌다. 기원전 1500년경에는 아리아인이 이 고개를 넘어 펀자브 지방으로 들어왔고, 이후 아케메네스 제국의 키루스와 다리우스 역시 이 길을 통해 인도 북서부를 공격했다. 기원전 326년경에는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3세가 대군을 이끌고 카이베르 고개를 넘어 펀자브 지방까지 진출했으나, 부하들의 반대로 회군했다. 이후 사카족, 월지족, 백훈족 등 중앙아시아 유목 민족과 사산 제국 등도 이 고개를 거쳐 인도 지역으로 진입했다.[2] 인도 내부 세력이 고개 너머까지 통제력을 미치는 경우는 드물었지만, 마우리아 왕조의 찬드라굽타는 예외적으로 이 지역까지 영향력을 행사했다.[2] 몽골 제국의 칭기즈 칸과 그의 후예들(두와, 쿠틀루그 카와자, 케베크 등) 역시 카이베르 고개를 통해 인도 침략을 시도했다.
쿠샨 제국 이전에는 카이베르 고개가 주요 무역로로 널리 사용되지 않았으나,[3] 이후 동서양을 잇는 실크로드의 중요한 일부가 되면서 교역의 중심지로 부상했다.[4][5] 파르티아 제국은 중국에서 서아시아와 유럽으로 운반되는 비단, 옥, 대황 등 사치품 교역의 이권을 확보하고자 카이베르 고개를 포함한 주요 교역로 통제권을 두고 경쟁했다. 카이베르 고개를 통해 간다라(현재 파키스탄) 지역은 아프가니스탄의 바그람과 파키스탄의 탁실라를 연결하는 지역 무역 중심지로 발전했고, 상아, 후추, 직물 등 인도산 물품이 실크로드 교역망에 더해졌다.[6] 또한 이 고개는 고대 그리스 문화가 인도에 전파되고, 반대로 불교가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아시아로 확산되는 문화 교류의 통로이기도 했다.[2] 동진의 승려 법현과 당나라의 승려 현장도 불법을 구하기 위해 카이베르 고개를 넘어 인도로 향했으며, 고개 인근 간다라 지역에서는 최초의 불상이 제작되기도 했다.[28]
이슬람 시대에는 가즈나 왕조, 고르 왕조, 무굴 제국의 창시자 바부르 등 여러 무슬림 세력이 이 고개를 통해 인도를 침략했다.[2][28]
수 세기 동안 파슈툰족, 특히 아프리디족과 아프가니스탄의 신와리 부족은 카이베르 고개를 자신들의 영역으로 여기고 통행세를 징수하며 통행의 안전을 보장했다. 통행세는 이들 부족의 주요 수입원이었기 때문에, 외부 세력이 고개 통제권을 장악하려는 시도는 종종 격렬한 저항에 부딪혔다. 오늘날 카이베르 고개 지역은 모조 총기 생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3. 1. 이슬람 시대
이슬람 시대 동안 가즈나 왕조의 마흐무드 가즈나비, 고르 왕조의 무함마드 고리, 그리고 티무르 왕조의 후예인 바부르를 포함한 여러 무슬림 통치자들은 인도 아대륙을 침략하기 위해 카이베르 고개와 인근의 다른 고개들을 이용했다.[2] 특히 가즈나 왕조의 마흐무드가 이 고개를 통해 침입하면서 인도의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28] 16세기 전반, 중앙아시아에서 우즈베크인의 침입으로 세력이 약화된 티무르 왕조의 바부르는 카이베르 고개를 넘어 인도에 침입하여 무굴 제국을 건국했다. 이후 무굴 제국은 이 중요한 고개를 통제하려 했지만, 지역 부족들의 거센 저항에 부딪혔다.[2] 두라니 제국의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카이베르 고개를 건너 인도를 정복한 마지막 주요 이슬람 통치자였으나, 그의 후계자들이 이끈 원정은 지속적인 영향력을 크게 남기지 못했다.[2]
3. 2. 근대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영국 동인도 회사는 잠재적인 러시아의 남하 위협에 대비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카이베르 고개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2] 이 지역은 이후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동안 영국, 시크교도, 아프가니스탄 세력 사이에서 통제권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의 무대가 되었다.[2] 란지트 싱이 이끌던 시크 제국은 1834년에 카이베르 고개를 점령하기도 했다.[6]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1878–1880) 이후, 영국은 카이베르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권을 확보했다. 영국은 지역 부족들에게 통행료를 지불하며 통로의 안전을 유지하게 하는 간접적인 방식을 통해 이 지역을 관리했다.[2] 또한 영국은 도로, 철도, 전신선 등 기반 시설 건설에 투자하여 카이베르 고개의 전략적 중요성을 더욱 높였다.[2]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령 인도 정부는 전략적인 목적으로 고개를 가로지르는 철도 건설을 추진했다.[2] 그 결과, 페샤와르 인근의 잠루드에서 란디 코탈 부근의 아프가니스탄 국경까지 이어지는 카이베르 고개 철도가 1925년에 개통되었다.[2]
영국 식민지 시대에는 당시 영국령 인도의 광활한 영토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으로 "카이베르에서 칸야쿠마리까지"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었다.[7][8]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독일 기갑 부대의 인도 침공 가능성에 대한 우려 때문에 계곡 바닥에 콘크리트로 만든 용의 이빨과 같은 방어 시설을 구축하기도 했다.[9]
3. 3. 현대
현재는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의 일부가 되었다.
3. 4. 최근 역사 (2001년 이후)
아프가니스탄 전쟁 동안 카이베르 고개는 2001년 미국이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시작한 이후 아프가니스탄 전역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 군대에 군수품과 식량을 재보급하는 주요 경로였다. 도로로 수송된 NATO 및 미국 보급품의 거의 80%가 카이베르 고개를 통과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측에서 파키스탄 측으로 민간인을 수송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2007년 말까지 이 경로는 비교적 안전했는데, 그곳에 거주하는 부족(주로 아프리디, 파슈툰족)이 파키스탄 정부로부터 지역 안전 유지 명목으로 자금을 지원받았기 때문이다.
2009년 1월, 파키스탄은 탈레반 게릴라에 대한 군사 작전의 일환으로 다리를 봉쇄했다. 이 군사 작전은 주로 카이베르 도로의 지구인 잠루드를 목표로 했으며, 탈레반 무장 세력을 숨기거나 지원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가옥들을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하거나 불도저로 파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파키스탄 북서부의 이러한 불안정한 상황으로 인해 미국과 NATO는 중앙아시아(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및 타지키스탄)를 통해 보급 경로를 넓혔다. 심지어 이란 남동부 항구인 차바하르를 통한 물자 공급 옵션도 고려되었다.
2010년, 미국으로부터 탈레반을 암묵적으로 지원한다는 비난을 받아온 파키스탄과의 복잡한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NATO군이 탈레반의 영향력을 약화시킨다는 명분 하에 무인 항공기를 이용하여 듀랜드 선 너머 파키스탄 영토를 공격해 파키스탄 군인 3명을 살해하면서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이에 파키스탄은 9월 30일 고개를 폐쇄했고, 이로 인해 여러 NATO 트럭 호송대가 국경에서 대기하게 되었다. 이 호송대는 알 카에다 연계 세력으로 추정되는 극단주의자들의 공격을 받아 29대 이상의 유조선과 트럭이 파괴되고 여러 군인이 사망했다.
2011년 8월, 카이베르 고개에서 NATO군에 대한 반군의 공격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카이베르 행정구 행정부는 카이베르 고개의 활동을 다시 중단했다. 이는 NATO 및 ISAF 연합군에 보급품을 수송하는 트럭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 국경 전역에서 발생했기 때문이다.
4. 문화적 중요성
카이베르 고개는 그 이름과 상징성으로 전 세계 여러 지역의 지명, 시설, 예술 작품 등에 영감을 주었다.
지명 및 시설카이베르 고개의 이름을 딴 장소는 다음과 같다.
-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근처 머그독 컨트리 파크의 가파르고 꼬불꼬불한 작은 도로. 웨스트 하이랜드 웨이의 랜드마크이다.[15]
- 인도 델리 시빌 라인의 교외 지역.[16][17][18]
- 뉴질랜드 오클랜드 뉴마켓의 주요 도로인 카이베르 패스 로드(Google Earth view).
- 영국 킹스턴어폰헐 이스트 파크의 인공 암석 조형물.[19][20]
- 아일랜드 더블린 피닉스 공원의 카이베르 로드.[21]
- 영국 위트비의 웨스트 절벽을 따라 이어지는 가파르고 꼬불꼬불한 도로.
- 스코틀랜드 오크니 스트롬네스의 보행자 골목길.[22]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카이베르 패스 펍.
- 잠무 카슈미르 굴마르그의 카이베르 히말라얀 리조트 앤 스파.
-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휘슬러의 산악 자전거 트레일.
- 킹스 크로스 세인트 판크라스 역의 지하도. 1987년 킹스 크로스 화재 이후 교체되었다.[23]
예술 및 미디어카이베르 고개는 여러 문학, 음악, 영화 등에서 언급되거나 배경으로 등장한다.
- 시드 무즈타바 알리의 회고록 ''데셰 비데셰''(1948) 첫 부분에서 고개를 통과하는 버스 여행이 묘사된다.
- 1968년 영국 코미디 영화 ''캐리 온 업 더 카이베르''는 카이베르 고개를 배경으로 한다.
- 1975년 영화 ''왕이 되려 한 사나이''에서 등장인물들은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카이베르 고개에서 싸웠다고 언급한다.
- 러디어드 키플링은 그의 여러 시에서 카이베르 고개를 직접 언급하거나("왕의 조크의 발라드"[24]), "고개"로 지칭하거나("전선의 산수"[24]), 반 허구화하여 묘사했다("동과 서의 발라드"[25]).
- 제이 맥이너니의 1985년 소설 ''랜섬''의 일부는 카이베르 고개 또는 그 근처를 배경으로 한다.
- 만화 시리즈 ''커맨더 맥브래그의 세계''의 "카이베르 고개" 에피소드에서 주인공은 고개에서 부족민을 막아야 한다.
- 2023년 영화 고스트드에서 주인공 콜(크리스 에반스)이 카이베르 고개로 납치된다.[26][27]
- 영국의 록 밴드 핑크 플로이드는 1969년 영화 모어의 사운드트랙에 수록된 연주곡 "업 더 카이베르"에서 카이베르를 언급했다.
- 톰 코크란의 노래 "라이프 이즈 어 하이웨이"는 카이베르 고개를 언급한다.
- 뱀파이어 위켄드의 노래 "M79"는 카이베르 고개를 언급한다.
- 미니스트리의 앨범 ''리오 그란데 블러드''(2006)에는 "카이베르 패스"라는 노래가 있으며, 영화 ''허트 로커''에도 사용되었다.
- 프로봇의 노래 "레드 워"는 카이베르 고개를 언급한다.
- 팟캐스트 ''트와일라이트 히스토리''에는 카이베르 고개를 배경으로 하는 "아프가니스탄의 나폴레옹" 에피소드가 있다.
언어
- '카이베르 패스(Khyber Pass)'는 '엉덩이(arse)'를 의미하는 칵니 라임 슬랭으로 사용된다. 이는 영화 ''캐리 온 업 더 카이베르''에서도 암시된다.
- 인도 분할 이전 영국령 인도 시대에는 식민지의 광활함을 나타내는 관용구로 "카이베르에서 칸야쿠마리까지"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다.[7][8]
산업카이베르 고개 지역은 지역의 강철과 대장장이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무기를 모방해 만드는 '카이베르 고개 복제품' 산업으로도 알려져 있다.
기타
- 히피 트레일이 유행하던 시절, 많은 서양인과 일본인 여행자들이 버스나 자동차로 카이베르 고개를 넘어 아프가니스탄 국경까지 여행했다. 당시 여행자들은 통제가 거의 미치지 않는 연방 직할 부족 지역이었던 도로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권고받았다.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Maliks of Khyber Pass.
https://www.bl.uk/on[...]
2023-03-07
[2]
웹사이트
KHYBER PASS
https://referencewor[...]
Brill
2022-09-27
[3]
서적
The Greeks in Bactria and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03-28
[4]
서적
Insight Guides Silk Road
https://books.google[...]
Apa Publications (UK) Limited
2017
[5]
서적
World Strategic Highway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6]
서적
The Khyber Pass: A History of Empire and Invasion
https://books.google[...]
Union Square Press
[7]
서적
Hari Singh Nalwa, "champion of the Khalsaji" (1791-1837)
https://books.google[...]
Manohar
[8]
뉴스
Attock to Cuttack, PM Narendra Modi causes a stir
https://economictime[...]
2020-06-23
[9]
웹사이트
Introducing The Khyber Pass
http://www.lonelypla[...]
Lonelyplanet.com
2010-11-12
[10]
뉴스
Pakistan Briefly Reopens Key NATO Supply Route
https://www.nytimes.[...]
2012-06-18
[11]
웹사이트
Pakistan and Afghanistan
http://www.underst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2012-06-18
[12]
웹사이트
Pakistan Reopens Khyber Pass To US/NATO
http://www.therightp[...]
2012-06-18
[13]
뉴스
Pakistan reopens border to NATO supply trucks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Foreign Service
2012-06-18
[14]
웹사이트
Nato supplies via Khyber Pass halted due to security
https://www.nation.c[...]
2012-06-18
[15]
웹사이트
Khyber Pass Trail at Mugdock Park
https://www.trailfor[...]
2020-03-30
[16]
웹사이트
Khyber Pass Map
http://www.mapsofind[...]
2013-07-12
[17]
웹사이트
Khyber Pass Delhi
http://maps.google.c[...]
2013-07-12
[18]
웹사이트
MGF City , Khyber Pass , North Delhi
http://indiaproperty[...]
2011-05-19
[19]
웹사이트
East's Eden
http://static.hullcc[...]
Kingston upon Hull City Council
2002-09
[20]
웹사이트
2013-01-14
[21]
뉴스
An Irishman's Diary
https://www.irishtim[...]
2021-05-02
[22]
웹사이트
OpenStreetMap
https://www.openstre[...]
2019-08-07
[23]
웹사이트
New subway to replace Kings Cross "Khyber Pass"
https://www.thisislo[...]
2004-08-12
[24]
웹사이트
The Khyber Pass
http://www.nationalg[...]
2019-08-07
[25]
웹사이트
The Ballad of East and West
http://www.kiplingso[...]
2019-08-07
[26]
웹사이트
Where was 'Ghosted' filmed? All 'Ghosted' filming locations
https://wegotthiscov[...]
2023-04-27
[27]
웹사이트
Where was Ghosted filmed?
https://www.atlasofw[...]
2023-04-27
[28]
서적
Saishin sekaishi zusetsu tapesutorī
https://www.worldcat[...]
Teikokushoin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